JAVA - 기본 프로그램(2)

2021. 3. 8. 19:40코 딩 공 부/J A V A

728x90
반응형

정수 자료 형

정수 자료 형은 byte, short, int, long 형이 있으며 int는 정수 연산을 위한 기본 타입이다.

 

● 정수 리터럴(integer Literals)

정수 리터럴은 소수점을 갖지 않는 수로 상수에 붙는 접미사와 밑수에 의해 구분된다.

 

● 정수 형 변수(integer variable type)

- 정수 자료 형의 종류

 

- 정수 형 데이터의 표현

자바에서 정수형 데이터는 '2의 보수에 의한 표현 방법'에 의해 표현되며, 최상위 비트(MSB)는 부호 비트로 사용 된다.

 

· '2의 보수에 의한 표현 방법'의 표현 범위(n은 자료형의 크기로 bit수를 의미한다.)

 

실수 자료 형

실수 자료 형은 float, double 형이 있으며 double 형이 실수의 기본 데이터 타입이다.

 

● 부동 소수 리터럴(floating point literals)

소수점 또는 지수 e를 포함하는 리터럴로 모든 실수형 리터럴은 부호를 포함하는 10진 실수 상수로 나타내어 지며, 정밀도를 위해 컴퓨터 내부에서는 8Byte 배정도형(double)으로 처리한다.

 

- 단정도형(single-precision, float형) 리터럴

부동소수 리터럴의 끝에 'f' 또는 'F'를 붙여 표현한다.

 

- 배정도형(double-precision, double형) 리터럴

부동소수 리터럴의 끝에 아무것도 붙지 않거나 'd' 또는 'D'를 붙여 표현되며 float형보다 정밀도가 높다.

 

● 실수 형 변수(real variable type)

자바의 실수 연산은 IEEE 754 표준안을 따르며, IEEE 754에는 단정도, 배정도 등에 대한 형식을 정의하고 있다. float는 double보다 정확도가 낮으므로 정확도를 요하는 경우에는 double형을 사용해야 한다.

 

- 실수 자료형의 종류

 

- 실수 표현 형식

 

● 정밀도

int a = 2_000_000_050;

float b = 2_000_000_050;

double c = 2_000_000_050;

 

System.out.println(a+","+b+","+c);

// 2000000050, 2.0E9, 2.00000005E9

 

System.out.printf("%d, %.1f, %.1f\n", a,b,c);

// 2000000050, 2000000000.0, 2000000050.0

 

float형은 정밀도가 낮아 2000000050을 저장하면 2.0*109으로 저장된다.

 

문자 자료 형

 

● ASCII 코드

ASCII는 미국에서 표준화한 정보교환용 7비트 부호체계로, 33개의 출력 불가능한 제어 문자들과 공백을 비롯한 95개의 출력 가능한 문자들로 이루어진다. (영문 키보드로 입력할 수  있는 영문자 및 기호들이 할당) 1바이트를 구성하는 8비트 중에서 7비트를 사용하고, 나머지 1비트는 통신 에러 검출을 위해 사용된다.

- ISO/IEC 8859

컴퓨터에서 8비트로 문자를 나타내기 위한 ISO와 IEC의 공동 표준으로, ISO 8859는 8비트로 구성된 바이트의 8번째 비트를 이용하여 128자의 추가적인 문자를 포함하고 있다. ISO/IEC 8859-1, ISO/IEC 8859-2, ISO/IEC 8859-3 등의 세부 표준이 제안되어 있다.

ISO 8859-1 : 가장 널리 쓰이며 대부분의 서유럽 언어를 지원하고 HTML 문서의 기본 인코딩이다.

 

● 유니코드(Unicode)

유니코드는 전 세계의 모든 문자를 컴퓨터에서 일관되게 표현하고 다룰 수 있도록 설계된 산업 표준이다. 유니코드는 국제적인 표준 언어 코드를 설명하는 논리적 단위이며, 같은 유니코드라도 실제로 컴퓨터에 어떻게 저장하느냐에 따라 여러가지 방식으로 나뉘어 진다. 이를 인코딩(Encoding) 또는 캐릭터셋(Charset)이라고 부트며 UTF-8, UTF-16 등 다양한 인코딩 방식이 존재한다.

 

- UTF-16(16-bit Unicode Transformation Format)

UTF-16은 유니코드 문자 인코딩 방식의 하나이다. 주로 사용되는 기본 다국어 평면(BMP, Basic multilingualplane)에 속하는 문자들은 그대로 16비트 값으로 인코딩이 되고 그 이상의 문자는 특별히 정해진 방식으로 32비트로 인코딩이 된다. (영문 및 한글 모두 2바이트로 표현)

 

- UTF-8

UTF-8은 유니코드를 위한 가변 길이 문자 인코딩 방식 중 하나로, 유니코드 한 문자를 나타내기 위해 1바이트에서 4바이트까지를 사용한다. (영문은 1바이트, 한글은 3바이트로 표현) 현재 웹 등에서 가장 널리 사용된다.

 

● 문자 리터럴(character literals)

- 개요

· 문자 리터럴은 단일 문자로 구성되어 있으며, 단일 인용 부호('')로 둘러 싸여 있다.

· 문자 리터럴은 한 문자를 의미한다.

· 문자 리터럴은 단일 인용 부호('')안에 아무것도 없으면 오류가 발생한다.

 

- 문자 리터럴에 대한 ASCII 코드 값

'A' 65('\u0041')     'Z' : 90     'a' : 97     'z' : 122     '0' : 48     '9' : 57     [Enter] : 13     [Esc] : 27

 

● 확장 열(Escape sequence)

확장 열이란 키보드로 직접 표현할 수 없는 문자 등을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\(backslash) 뒤에 문자를 써서 표현한다.

 

● 문자형 변수

자바에서 제공해주는 문자 리터럴은 기본적으로 char 자료형을 사용하며 unicode(UTF-16)로 표현한다.

 

● 문자열 리터럴

- 개요

· 하나 이상의 문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중 인용부호("") 안에 기술하여야 한다.

· 문자열은 기본 데이터 타입이 아닌 객체로 처리된다.

 

● 문자열 변수

자바는 문자열을 처리하기 위하여 String이라는 클래스를 제공한다. String 클래스의 변수는 참조 형 변수로 기본 자료 형 변수(primitive Type)와는 다르게 메모리 할당이 이루어진다.

 

● 문자열에서의 + 연산자

문자열(String)에서의 +연산자는 피 연산자 중 어느 한쪽이 문자열이면 나머지 한쪽을 먼저 문자열로 변환 후 결합한다.

 

논리 자료 형

논리적인 값을 위해서 boolean 타입을 제공하며, 크기는 1Byte이다. boolean 타입은 true와 false 중 하나의 값 만을 갖는다.

 

● 논리 타입 리터럴

true, false

 

● 논리형 변수

 

주석

프로그램 소스코드에 프로그래머의 의견이나 설명을 적어 놓은 것을 주석이라 하며, 주석은 컴파일 시 자동으로 제외되므로 프로그램 실행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.

 

● 블록 단위 주석 문

블록 단위 주석은 /*에서 시작하여 */까지를 나타내며, 여러 줄을 주석으로 설정할 경우에 유용하다.

 

● 라인 단위 주석 문

이중 슬래쉬(//)부터 줄 끝까지 유효하며, 어떤 줄에서도 사용 가능하다.

 

● 이클립스 주석 관련 단축키

· Ctrl + Shift + / : 블록 주석 추가

· Ctrl + Shift + \ : 블록 주석 제거

· Ctrl + / : 한줄 또는 선택영역 주석 처리 또는 제거

728x90
반응형

'코 딩 공 부 > J A V 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JAVA - 배열  (0) 2021.04.12
JAVA - 제어문  (0) 2021.03.24
JAVA - 연산자  (0) 2021.03.16
JAVA - 기본 프로그램(1)  (0) 2021.03.05
JAVA - 자바 개요  (0) 2021.03.03